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사우디]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04.04.-10.)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4-14
조회수
144

(정보제공: 주사우디대사관)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04.04.-10.)



   

1. 일반경제 및 투자

   

o PIF 산하 벤처캐피탈 자회사인 Sanabil Investments와 Valar Ventures은 공동으로 새롭게 창설된 커머스 플랫폼인 SILQ 그룹에 대한 투자자 그룹의 1.1억불의 펀딩(카타르 개발은행도 참여)을 리드하고 있음.

   

  - SILQ 그룹: 방글라데시 최대 B2B 커머스 플랫폼인 ShopUp과 걸프의 리딩 마켓플레이스인 Sary간 합병으로 만들어진 회사로, 2027년 걸프 시장에서의 상장을 목표를 하고 있음.


  o 美 트럼프 정부의 각국에 대한 관세발표(4.2)와 OPEC+의 증산발표(4.3)가 4월 첫째 주 유가의 대폭 하락을 야기하며 중동지역 증시를 흔들면서, 아람코는 주식 하락으로 거의 900억불(880억불)을 상실함 (WSJ, 4.6).

   

   - 이와 같은 주가의 대폭 하락은 4.6(일) 개시된 중동지역의 증시가 전주에 발생한 시장의 우려를 소화내해면서 발생한 것으로, 사우디, UAE, 카타르, 쿠웨이트 등의 국가는 美 트럼프 정부의 10% 관세 영향을 받을 예정임.

   

   - 4월 첫째 주 Brent가 4.3-4일 이틀에 걸쳐 거의 12.5%가 하락한바, 이와 같은 유가의 대폭 하락(plummet)은 석유의존경제로 고려되는 중동지역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가속화함.

   

   - 아람코 주가는 4.6(일) 2020.3월 이후 일일 최대 하락폭을 기록하며 5.3% 하락했으며, 동일 사우디증시(Tadawul) TASI는 6.8% 하락함.

   

o Goldman Sachs는 유가 폭락이 사우디의 재정 및 여러 경제개혁에 폭넓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4.10)한바, 올해 사우디의 적자가 670억불까지 치솟을 수도 있다고 전망함.

   

  - ‘25년도 670억불의 적자는 올해 일평균 유가를 $62로 가정*했을 때의 수치로, 사우디 정부의 현재 재정적자 예상의 두 배를 넘는 수치임.

   

    * 4.10일 기준 Brent는 전주 대비 약 15% 하락한 약 $64를 기록하고 있으며, 많은 분석가들이 향후 더 낮은 수준의 유가를 전망하고 있음.

   

  - 상기 상황에서, 조만간 사우디 정부의 재정 조정(fiscal adjustment)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보다 많은 대출(borrowing) 및 보다 공격적인 프로젝트 우선순위 재조정(re-prioritization)이 있을 것으로 예상함. (Goldman Sachs 중동북아프리카부 경제학자 인터뷰)

   

2. 에너지

   

o (OPEC+ 생산 동향) OPEC+가 참여 산유국(특히 카자흐스탄)에서 재차 국별 쿼터를 지킬 것을 강조하는 가운데, 지난 달(3월) 생산량은 나이지리아 및 이라크의 감산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블룸버그 서베이에 따르면, OPEC+ 3월 생산량은 일 11만 배럴 감소한 일 2,743만 배럴로 나타난바, 생산 감축의 대부분은 나이지리아(일 5만 배럴), 이라크(일 4만 배럴)로 나타남.

   

o (OPEC+ 증산 전망) 사우디 및 러시아 주도의 OPEC+ 연합체는 5월에 추가로 411,000배럴을 추가 공급하기로 결정(4.3)*함.

   

  - OPEC+는 4월부터 점진적 공급 회복 계획을 개시한바, 4월 일 138,000배럴의 추가공급이 이루어질 예정인바, 5월의 동 40만 배럴 이상의 추가 공급은 거의 3개월치 추가공급분에 맞먹는 규모임.

   

  - 동 결정은 지속적으로 국별 쿼터를 비준수하는 일부 참여 산유국에 대해 강한 불만이 제기된 후 이루어진 것으로, OPEC+내 인사에 따르면 동 결정은 쿼터 非준수 국가에 대한 경고 및 압박이자, 동시에 이들 국가에 과거의 초과 생산분 관련 더 큰 규모의 보상 감산(larger compensation cuts)을 할 기회를 주는 것으로 고려됨.

   

o (아람코 OSP) OPEC+가 5월부터 대규모의 추가 공급을 발표한지 수일 이후, 사우디 아람코는 5월 아시아행 아랍경유(Arab Light Crdue)의 가격을 $2.30까지 대폭(2022년 이후 최대 폭으로) 하향조정함.

   

  - 또한 아람코는 미국행 및 유럽행 원유가도 (아시아행 만큼의 큰 폭은 아니나) 하향조정함.

   

3. 산업

   

o 사우디의 차량 공급사인 Jameel Motors와 중국 Chongqing Changan Automobile Auto는 공동으로 올해 말부터 아프리카의 최대 규모의 자동차 시장인 남아공 시장진출을 계획 중임.

   

  - Jameel Motors의 본사인 Abdul Latif Jameel Group은 Rivian Automotive의 3번째 대주주로, 남아공 시장에 대한 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중기적 기간 내에 남아공에 2,720만불을 투자하고, 50여개의 쇼룸을 오픈할 계획임.

   

  - Abdul Latif Jameel Group의 이러한 움직임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산업화된 국가인 남아공에 대한 사우디 기업들의 투자(Zahid Grouup,, STC, ACWA Power 등)의 가장 최근의 예임.

   

o 국제전략광물 허브로서의 사우디 위상 확립 관련, 사우디 국영광업사 Ma’aden은 광물(희토률) 프로세싱 파트너쉽(pact) 관련 외국기업을 조만간 선발한 예정임.

   

  - Ma’aden은 현재 고려중인 4개 외국기업(미국 MP Materials, 중국 Shenghe Resources, 호주 Lynas Rare Earths, 캐나다 Neo Performance Materials) 중 적어도 1개 파트너사를 6월까지 선택할 예정이며, 12월까지 동 희토류 채취 및 프로세싱에 대한 연구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o PIF 소유의 Riyadh Air는 사우디 민간항공청(GACA)로부터 안전운항체계 점검제도 관련 항공운향증명(AOC, Air Operator Certificate) 승인을 획득했다고 발표(4.6)한바, 동 항공사는 2025년 운행을 개시할 것으로 기대됨.

   

  - Riyadh Air는 2030년까지 약 100여개 국제도시 취항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사우디 경제에 약 200억불 이상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동 항공운향증명 전달식에서 Saleh Al-Jasser 사우디 교통물류부 장관은 사우디의 국가교통전략의 일환으로 단일 운항사 모델에서 멀티 운항사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항공부문의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킹살만 국제공항 개발진행 관련 현재 공항 디자인을 완료하고 건설에 착수 중이라고 설명함.

   

o 사우디 철도청(SAR)은 70억불 규모에 1,500km 이상을 커버하는 철도네트워크 프로젝트인 랜드브릿지(Landbridge railway network)의 디자인 관련 입찰(5.15 마감)을 공고함.

   

  - 디자인 확정 후 타임프레임을 고려할 때 건설 입창 공고는 2026년 중반으로 예상되나, 현재로서는 동 프로젝트의 파이낸싱 등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임.

   

  - 동 프로젝트의 핵심 부문은 900km에 달하는, 홍해 킹압둘라항에서 리야드까지의 직운송을 가능하게 할 리야드-젯다간 새로운 철도임.


  - 또한 동 프로젝트는 기존 리야드-담맘 철도 라인의 업그레이드, 킹압둘라항-얀부 간의 연결 등도 포함할 예정임.

   

o 4.10(목) 기준 테슬라(Tesla Inc.)가 사우디 시장에 공식 런칭함.

   

  - 테슬라는 사우디 시장에 대한 계획 관련 세부사항을 발표하지는 않았으니, 수도 리야드에 적어도 한 개의 쇼룸을 오픈할 예정임.

   

  - 테슬라 CEO는 2018년 PIF 총재(Yasir Al Rumayyan)랑 설전을 벌인 과거가 있는바, 동 테슬라의 사우디 시장 공식 런칭은 이들간 관계가 어느 정도 회복되었음을 보여준다고도 분석됨.

   

  - 테슬라의 향후 장기적 성장은 중동지역보다는 미국, 중국, 유럽 시장에 달려 있으나, 테슬라는 1-2년 운영 후 사우디 시장에 년 3만대의 차량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됨 (Deepwater Asset Mgmt. 예측).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